난중일기(임진년 2월) 임진년 2월 (1592년 2월) 2월 초1일 [양력 3월 14일]<임진> 새벽에 망궐례를 했다. 가랑비가 잠간 뿌리다가 늦게야 개었다. 선창(여수시 연등동 입구)으 로 나가 쓸만한 널빤지를 고르는데, 때마침 방천안에 몽어 떼가 밀려 들어 왔기로, 그물을 쳐서 이천 마리를 잡았다. 참으로 장쾌했다. 그 길로 전선 .. 그룹명/불멸의 이순신 2006.11.17
난중일기(임진년 1월) 임진년 1월 (1592년 1월) 1월 초1일 [양력 2월 13일]<임술> 맑다. 새벽에 아우 여필(여필)과 조카 봉, 아들 회가 와서 이야기했다. 다만 어머니를 떠나 남쪽에 서 두번이나 설을 세니 간절한 회포를 이길 길이 없다. 병마사의 군관 이경신(이경신)이 병 마사의 편지와 설 선물과 장전(장전)과 편전(편전) 등.. 그룹명/불멸의 이순신 2006.11.16
이순신 장군 묘 16년 만의 이장, 무슨 사연 있을까 최근 충무공 이순신 장군을 소재로 한 책과 TV 드라마가 인기를 끌면서 그에 대한 관심이 새롭게 일고 있다. 그의 죽음에 관해서도 일부러 왜군의 총에 맞았다는 ‘의도적 자살설’이나 전쟁이 끝난 뒤 아무도 모르는 곳에서 은둔생활을 했다는 ‘은둔설’ 등이 떠돌고 있다. 이런 설이 나도는 배경은 .. 그룹명/불멸의 이순신 2006.11.15
거북선꼬리의 비밀 거북선꼬리의 비밀 거북선을 자세히 보면 배의 외측 현판이 뒤쪽으로 길게 연장 되어 있슴을 볼 수있다. 그런데 바로 이 꼬리가 무었 때문에 그렇게 길게 만들어져 있는지 궁금 하지 않을 수 없다. 이 꼬리는 순수한 장식용으로 적에게 위용을 보이기 위함 일까? 우리 나라 전함들의 구조를 그린 옛 기.. 그룹명/불멸의 이순신 2006.11.15
명량대첩-인류역사상 최고의 해전 명량대첩(鳴梁大捷) 우리는 지금부터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해군 제독 이순신이 이전의 신화를 뛰어넘어 더욱 위대한 신화를 이루는 과정을 보게 된다. 불과 12척의 패잔선으로 일본의 정예 함대 200여 척과 10만 대군을 격멸시키는 믿겨지지 않는 신화인 것이다. 이 명량해전이야말로 그 동안 사가(.. 그룹명/불멸의 이순신 2006.11.15
일본장수가 본 이순신 장군에 관한 기록 1. 와키자카가 본 이순신 전에 kbs1 역사스페셜에서도 나온적이 있읍니다. 와키자카 후손들이 매년 이순신장군님 탄생때 온다는거.... 와키자카가 이순신장군님을 알게된건 한산도대첩때 인데... 와키자카는 우리가 알고있는 것과는 성격이 좀 많이 다르다고 합니다. 물론 한국에서 바라보는것과 일본에.. 그룹명/불멸의 이순신 2006.11.15
충무공의 우국시 수국추광묘 경한안진고 우심전전야 잔월조궁도 바닷가에 가을빛은 저물어 가는데 찬 바람에 놀란 기러기떼 높이 떴구나. 나랏일 걱정스러워 잠 못 이루는 이밤 싸늘한 새벽달 빛은 칼과 활을 비추네. 그룹명/불멸의 이순신 2006.11.15
선조와 진린의 제문 傳于政院曰 李舜臣贈職致賦 官此葬事 且其子幾何 喪畢之後 盡爲除職可也 海上亦可立祠 此一款 令備邊司議啓 승정원에 이르되 이순신에게 증직하고 부의를 다하며, 관비로 장사지내고 그 자식은 얼마나 되는지 알아보고 상을 마친후에 모두 벼슬을 줌이 가하다. 바닷가에 사당을 세워 한결같이 정성.. 그룹명/불멸의 이순신 2006.11.15
충무공 이순신장군의 행록(사천해전 기록) 충무공 이순신의 행록(行錄) 또 공은 전쟁할 때마다 여러 장수들에게 약속하되 '적의 머리 한 개를 베는 동안에 많은 적을 쏠 수가 있는 것이니 머리 많이 못 베는 것은 걱정하지들 말고 그저 쏘아 맞히는 것만을 먼저 하라. 힘써 싸운 여부는 내가 직접 눈으로 보는 바가 아니냐.'하였다. 그 때문에 전.. 그룹명/불멸의 이순신 2006.11.15
난중일기(계사년 7월) 계사년 7월 (1593년 7월) 7월 초1일 [양력 7월 28일]<계축> 맑다. 인종(仁宗)의 제삿날이다. 밤기운이 몹시 서늘하여 잠을 이루 지 못했다. 나라를 생각하는 마음이 조금도 놓이지 않아 홀로 봉 창 아래에 앉아 있으니, 온갖 생각이 다 일어난다. 선전관이 내려 왔다고 들었는데. 초저녁에 임금의 분부(宥.. 그룹명/불멸의 이순신 2006.11.15